오늘 제가 전해드릴 소식은 바로 SaaS와 관련된 소식인데요. SaaS는 Software-as-a-Service의 약어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를 가상화하여 제공하는 것입니다. SaaS는 사용자가 네트워크만 연결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응용 프로그램을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하며, SaaS 소프트웨어는 웹페이지에 접속해 회원 가입만 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SaaS에도 진품과 가품이 있다는 걸 알고 계신가요?
#1. 주제픽. 진짜 SaaS? 가짜 SaaS? 너의 정체를 밝혀라!
클라우드 시장은 국내와 글로벌을 가리지 않고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특히 글로벌 시장에서 SaaS 소프트웨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3년 기준으로 33%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는데요. 향후 기업들이 클라우드로 인프라를 이관하면서 SaaS 형태 소프트웨어 수요가 증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시장의 수요가 증가하는 만큼 SaaS 서비스의 공급 또한 늘어나고 있는데요. 갑자기 시장이 성장해 버린 부작용일까요? SaaS 서비스가 아닌데도 SaaS 서비스라고 이름을 붙인 가짜 SaaS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비즈니스에 맞는 SaaS 소프트웨어를 찾는 것도 중요하지만, 진짜 SaaS를 구분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일인데요. 진짜 SaaS 서비스만이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특징과 서비스를 소개하겠습니다.
IT 장애는 서비스가 중지되는 문제를 발생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초기 고객의 이탈과 넓게는 법률 문제로 번질 수 있기 때문에 장애 원인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한 업무입니다. 평소 모니터링을 하지 않는다면 예방도 못할 뿐만 아니라 문제 해결에도 많은 시간을 써야 합니다.
스타트업에게 가장 중요한 일이 무엇일까요? 바로 한정된 리소스를 잘 활용하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서비스 장애는 언제,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서비스 장애가 일어났을 때 빠르게 대처하지 못해 개발자는 오류 지점과 원인을 찾느라 서비스 개발에 투자할 시간을 뺏기고 있거나, 인프라 엔지니어는 중요한 업무에 투자하지 못하고 계시지는 않으신가요?
와탭을 사용하고 있는 다섯 기업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 스타트업이 모니터링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오늘의 3픽 부록으로는 와탭 모니터링을 사용하시는 분들을 위한 작은 꿀팁들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모니터링에 있어 보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바로 알림을 받는 것인데요. 어떤 직군이 모니터링 서비스를 이용할 때 알림을 활용해서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요?
그리고 위험한 상황이 오기 전 미리 알림을 받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와탭의 기본 알림 템플릿, 히트맵 패턴을 이용한 알림, 메트릭스 이상 탐지 설정, 이상치 탐지 알림까지! 세세한 알림 설정 방법에 대해 알려 드립니다! 마지막으로 가상의 기업의 사례를 통한 상황극을 통해 모니터링 서비스 알림의 중요성까지 함께 알아볼까요?
지난 6월 29일과 30일, 일본 도쿄 시나가와의 프린스 호텔에서 2023 Korea ICT Expo In Japan(도쿄) 전시/상담회가 진행되었는데요. 와탭랩스도 참가하였습니다. '2023 Korea ICT Expo in Japan'은 한국 IT 제품과 서비스를 일본에 선보이는 자리로 올해로 18회째입니다. 국내 중소·중견 SW기업들의 일본 진출 활성화를 위해 매회 개최되고 있습니다.
모니터링 플랫폼 기업 와탭랩스가 AWS 로그 모니터링을 출시했습니다. 시스템의 이벤트 및 활동에 대한 기록인 로그는 문제를 진단하고 성능을 추적해 문제 해결을 용이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이에 로그 모니터링은 로그를 수집 및 저장하고, 기업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추출해 의사 결정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합니다.